맛있는유틸리티
    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    • IT유틸리티
        • 멀티미디어그래픽
        • 천문학
    • 글작성
    • 방명록
    • 환경설정
    • 메뉴 닫기
    천문학

    백색왜성

    백색왜성 일반적인 항성은 내부의 수소를 핵융합반응으로 헬륨으로 바꿈으로서 빛을 발하는데, 긴 세월이 지나면 별 내부의 수소가 점차 소진된다. 이렇게 되면 별은 헬륨을 핵융합반응의 재료로 쓰며, 이 과정에서 별은 적색 거성으로 바뀐다. 태양도 미래에는 적색거성이 될 전망이다. 계산 결과 대략 지금으로부터 약 78억년 후일 것이라 추정된다.내부의 헬륨을 삼중 알파 과정으로 소진해 탄소로 융합하면 이것이 핵융합반응의 재료가 되는데, 태양을 포함한 대부분의 별은 질량이 작기 때문에 탄소가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열과 압력을 가할 수 없다. 이렇게 되면 그 별은 행성상 성운으로 외부층(수소, 헬륨 등)을 우주로 방출하고, 남은 핵(탄소)은 백색왜성이 된다.백색왜성은 보통 핵융합반응을 통해 생성된 탄소와..

    2019. 8. 17. 23:45
    • «
    • 1
    • ···
    • 22
    • 23
    • 24
    • 25
    • 26
    • 27
    • 28
    • 29
    • »
    반응형

    공지사항

    전체 카테고리

  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  • IT유틸리티
      • 멀티미디어그래픽
      • 천문학
    애드센스 광고 영역
    • 최근 글
    • 최근 댓글

    최근 글

    최근댓글

    태그

    • #Bing webmaster
    • #neural style transfer
    • #Dall-E
    • #빙 웹마스터
    • #AutoDraw
    • #Adobe Fresco
    • #seo 최적화
    • #GANS
    더보기+

    전체 방문자

    오늘
    어제
    전체

    블로그 인기글

   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© 맛있는유틸리티 All rights reserved. TistoryWhaleSkin3.4

    티스토리툴바